Mn은 알루미늄합금의 중요한 첨가원소 중 하나로서 1-2%정도의 Mn 첨가는 순알루미늄의 성형성과 내식성을 유지시키면서 합금의 강도를 향상시켜주게 된다. 대표적인 Al-Mn계 합금으로서 전신재용 A3004합금이 있으며 이 합금은 우수한 성형성과 내식성 및 일정 정도의 강도가 요구되는 알루미늄캔 재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순알루미늄에 Mn원소를 소량 첨가하면 석출물 입자의 크기와 균일 분산 정도를 쉽게 제어할 수 있어 합금의 미세조직과 기계적 특성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Al-Mg합금에서 제2상 석출물인 MnAl6상은 알루미늄 기지의 전기화학적 안정성을 저하시키지 않아 Al-Mg계 합금이 내식성을 유지하면서도 적당한 강도를 나타내게 하는 역할을 한다.
Al-Mn계 합금은 역사적으로도 매우 오래 전에 실용화 된 합금이다. 1-1.5%Mn과 소량의 Cu, Si, Fe가 포함된 3003합금은 1906년에 소개되었다. 그리고 1929년에는 3003합금에 1%정도의 Mg을 첨가하여 고용강화 시킨 3004합금이 개발되어 오늘날까지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표1는 대표적인 3000계열의 Al-Mn계 전신재 알루미늄합금의 화학성분을 보이고 있다.
상기 표에서 보이고 있는 합금 이외에도 3000계열 전신재 알루미늄합금은 그 종류가 다양하지만 비교적 사용도가 넓은 Al-Mn계합금은 3003, 3004, 3005, 3105합금으로 한정되어 있다. 이들 4가지의 주된 Al-Mn계 합금의 특성과 용도를 보면 표2과 같다.
3000계열 전신재 Al-Mn 합금은 가정용품, 식음료 캔 재료, 건축자재 칼라알루미늄 등 성형성과 내식성을 가지면서 적당한 강도를 요구하는 곳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3003과 3004 전신재 합금은 클래드 판재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예로서 물을 사용하는 열교환기에는 3003합금을 피복재로 하여 7072합금을 클래드 한 것이 사용되는데 이는 내식성이 양호한 3000계 합금을 표면에 피복함으로써 7072 합금의 내식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3003 합금 피복재에 4343, 4004, 4104 합금을 클래딩한 소재는 자동차용 열교환기에 적용되고 있다.
이글도 추천합니다.
Al-Mg계 합금(5000계열) (0) | 2020.06.14 |
---|---|
Al-Si계 합금(4000계열) (0) | 2020.06.13 |
Al-Cu계합금(2000계열) (0) | 2020.06.09 |
순알루미늄(1000계열) (0) | 2020.06.07 |
알루미늄의 종류와 특성 (0) | 2020.06.07 |